[1번지이슈] 서울 이어 전국 상승세…집값 바닥론 '갑론을박'<br /><br /><br />서울 아파트 가격이 14주 연속 상승하면서 '집값 바닥론'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지난주엔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는 물론 전세가까지 동시에 상승 폭을 확대했는데요.<br /><br />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"집값 대세 상승은 바람직하지 않다"며 확실하게 선을 긋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 '주간 아파트 동향'에 따르면 8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0.14% 상승했습니다. 서울 아파트 가격이 14주 연속 상승하면서 아파트 가격 바닥론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?<br /><br /> 집값 상승세가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. 서울과 수도권에 이어 지방까지 68주 만에 상승 전환한 만큼 '집값 바닥론'에 연이어 힘이 실리는데요? 상승 원인,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전국 전세가격도 지난주 0.04% 상승에서 이번주 0.07% 상승으로 상승폭이 늘었습니다. 수도권과 서울 모두 상승폭이 확대됐는데요. '역전세' 예상과 달리 전셋값이 상승세인 것 역시 매매 시장에 '집값 바닥론'을 부추기지 않나 싶어요?<br /><br /> 가계 빚이 올해 2분기에만 9조 5,000억 원 늘었습니다. 3분기 만에 증가 전환한 건데요. 부동산 시장 반등 기대감에 주택 거래량이 늘면서 가계대출이 급증한 겁니다. 고금리와 경기 둔화 국면에도 가계부채 증가세를 보인 건 "집값이 바닥을 찍었다"는 인식 때문이란 해석이 나와요?<br /><br /> 가격 회복 기대심리가 반영돼 부동산 시장이 회복 조짐을 보이는 것은 분명해 보이는데요. 부동산 거래가 아파트에 국한돼 있고, 전체 거래량은 여전히 부진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추세적 상승으로 보긴 어렵다는 뜻일까요?<br /><br /> 서울 아파트 가격이 14주 연속 올랐고, 지방 아파트값도 1년 3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고 말씀드렸는데요. 이렇게 집값은 들썩이는데, 부동산 거래를 돕는 공인중개사들은 줄폐업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립니다. 이유가 뭔가요?<br /><br /> 한편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간담회에서 최근 수도권과 전국 일부 지역에서 집값이 상승세로 전환되는 데 대해 우려를 드러냈습니다. 집값 가격 반등에 속단하지 말라며, '시장에 공급은 꾸준히 진행된다'라는 신호를 보내겠다고 밝혔습니다. 정부가 공급 신호를 주는 것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까요?<br /><br />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집값이 올라가는 "방향 자체를 꺾는 것은 실패할 것으로 본다" 면서 기울기를 완만하게 해야 한다고 짚었습니다. 미세조정에 역점을 두겠다고 강조했는데, 실제 하반기 공급 시장은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 인하는 시기상조라고 언급했는데요. 당분간 최종금리를 3.75%까지 열어둔 상황이고, 미 연준의 통화정책에 불확실성이 높다고 덧붙였습니다. 그러면서 젊은 세대들은 부동산 투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'영끌 경계령'으로 봐야겠죠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